번역 업무를, 특히 게임 번역 업무를 진행하다 보면 불특정한 간격으로 원문 업데이트가 진행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하지만 원문이 업데이트되더라도 어느 부분이 어떻게 업데이트되었는지를 확인하기는 상당히 어렵습니다. 고객 측 번역 담당자도 이 내용을 모두 파악할 수는 없어서입니다. 하지만 이렇게 달라진 내용은 원문이 변경된 것이기 때문에 memoQ를 활용하면 충분히 해당 내용을 파악하고 수정 번역이 가능합니다. 그럼, 번역가에게 피드백(Feedback)을 전달할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단순한 몇 가지 문제뿐이라면 쿼리 시트를 활용해서 피드백을 전달해도 되겠지만 그 내용이 너무 많다면 쿼리 시트 형태로 전달하는 것보다는 번역을 수정한 부분을 번역가가 직접 파악하게 만들어 최종 버전이 어떻게 변경되었는지를 볼 수 있게 하는 것이 더 좋은 방법입니다. WinMerge는 이런 변경 내용을 파악할 때 아주 유용합니다.
WinMerge 설치하기
WinMerge는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프리웨어입니다. 아래 링크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https://winmerge.org/downloads/?lang=ko
사이트는 한국어도 지원하고 있습니다. 파일을 다운로드하고 설치하시면 아래와 같은 화면을 보실 수 있습니다.
텍스트 형식으로 되어 있는 파일이라면 모두 비교가 가능하지만, 번역 업무와 관련해서 활용한다면 대부분 TXT 파일이거나 엑셀 형식의 파일이 될 것입니다. Word 문서의 경우 해당 프로그램에서 자체로 지원해 주는 기능이 있으니 그것을 활용하면 될 것 같습니다. 여기에서는 엑셀 형식의 파일을 활용하는 방법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최초 번역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수정 번역문의 내용은 아래와 같습니다.
어디가 달라졌는지 보이시나요? 눈썰미가 좋은 분이라면 몇 문장 안 되기 때문에 금방 확인하셨을 수도 있을 것 같습니다. 하지만 수백 문장, 수천 문장이 된다면 수정된 부분을 하나하나 찾아내기는 상당히 어려운 일입니다. 자, 그럼 위 두 개 파일을 WinMerge를 활용해서 달라진 부분이 어디인지 확인해보겠습니다.
WinMerge로 파일 비교하기
아래 이미지처럼 최초 번역 파일과 수정된 번역 파일을 순서대로 넣습니다.
우측 하단의 [비교] 버튼에서 엑셀 파일 형식을 선택해서 해당 형식으로 파일을 비교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으면 파일 내용이 정상 분석되지 않습니다.
분석이 완료되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타납니다.
위 이미지를 보시면 내용이 달라진 셀의 색이 노란색으로 변경되어 있습니다. 그리고 그중에서 달라진 내용이 옅은 베이지색으로 표현되어 있습니다. 이 정도면 어느 부분이 변경되었는지 확인하기는 상당히 쉬워질 것 같습니다. 번역과 관련된 업무를 하는 분들에게 유용한 툴이니 적극 활용해 보십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