번역을 하다 보면 인명, 기관·기업명, 지명, 작품명 등 수많은 고유 명사와 마주치게 됩니다. 고객사 측에서 용어집(TB)을 제공해 줄 때도 있지만 그렇지 않을 때도 많고, 임의로 번역했다간 오역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번역의 품질을 올리기 위해서는 고유 명사를 제대로 처리하는 방법도 숙지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사전에 찾아도 나오지 않는 고유 명사는 어떻게 번역하면 좋을까요?

 

* 이 포스트는 영어↔한국어 번역 작업을 기준으로 작성한 글입니다. 또한, 모든 내용은 참고용이므로 어떤 작업이든 기본적으로는 고객 측 지침을 우선 준수하는 것이 맞습니다.

 

1. 구글에 검색해 보자!

특히 기관·기업명, 지명, 작품명 등 실제로 존재하는 명사일 때 가장 유용한 방법입니다. 예를 들어

“당시 니콜라의 주가는 공모가(22달러) 대비 5배 가깝게 뛴 93.99달러까지 올랐다.”

라는 문장이 있다고 해 봅시다. 워낙 유명한 기업이긴 하지만 만약 니콜라가 어떤 기업이고, 영어로는 어떻게 쓰는지 모르는 상황이라면 Nicola, Nichola, Nikola 등… 다양한 표기법 사이에서 망설이게 되겠죠. 이럴 때에는 먼저 해당 고유명사를 구글에 검색해 봅니다.

이렇게 한국어로 검색을 해도 위키피디아에 해당 기업이 등재되어 있다면 영어 검색 결과를 보여줍니다. 단, 누구나 편집이 가능하며 검증되지 않은 정보도 업로드할 수 있다는 위키피디아라는 매체의 특성상 해당 명칭이 무조건 공식 명칭이라 생각하는 것은 위험할 수 있습니다. 고유명사의 가장 정확한 명칭을 확보하는 방법은 공식 영문 홈페이지를 이용하는 것입니다. 이번에는 아까 한국어 웹에서 얻은 영어 명칭으로 다시 검색해 보겠습니다.

제일 상단에 공식 홈페이지가 표시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실제로 홈페이지에서 “니콜라”가 자사를 어떻게 지칭하고 있는지 살펴봅시다.

Nikola Corporation, Nikola Motor, Nikola… 등이 있네요. 번역을 하실 때에는 이런 식으로 공식 홈페이지에서 기업명을 찾아보고 해당 표기법을 따르면 오역을 방지하는 데에 도움이 됩니다. 공식 명칭을 웹 상에서 찾기 어려운 경우에는, 그 대상을 지칭하는 표현 중 사람들이 일반적으로 제일 많이 사용하고 있는(검색 결과가 제일 많이 나오는) 표기법을 따르는 것이 안전합니다.

Tip: 특히, 기업의 영어 명칭은 공식 홈페이지 최하단에 있는 저작권 관련 문구(All Rights Reserved 부분)를 잘 살펴보시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요약하면 아래와 같습니다.

1. 원문에 있는 고유명사를 웹에서 검색해 보고 번역어로 어떻게 표현되는지 체크해 본다.

2. 해당 단어의 번역어 명칭이 실제로 맞는 명칭인지 확인하기 위해 역방향으로도 검색해 본다.

3. 공식 명칭을 확인할 수 없다면 실제로 많이 사용하는 표기법을 따른다.

 

2. 직접 추론해 보자!

그런데, 특히 아직 번역이 되지 않은 책이나 영상, 만화, 게임 등의 창작물에서 실제로 존재하지 않는 가상의 고유 명사를 번역해야 할 때에는 참고할 수 있는 자료가 부족하기 때문에 웹에서 검색하는 것이 크게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그럴 때에는 해당 단어를 어떻게 해야 할지 직접 추론해서 번역해야 합니다.

어떤 나라의 말일까?

똑같이 알파벳을 사용하더라도 나라마다 발음 방식이 다릅니다. “Ja”라는 단어가 있을 때, 영어로는 “자”라고 발음하지만 독일어로는 “야”, 스페인어로는 “하”로 발음하지요. 새로 창작된 고유 명사를 번역할 때에는, 그 단어가 어떤 언어적 배경에서 만들어진 단어인지 생각해 보고, 어떤 나라의 방식으로 표기할지를 결정합니다. 예를 들어, “Duesselberg”이라는 가공의 지명이 있다면, “듀셀버그(영어식 발음)”로 표기할지, “뒤셀베르크(독일식 발음)”로 표기할지를 결정하는 겁니다. 만약 텍스트의 배경이 중세 북유럽이라면 후자를 선택하는 것이 더 자연스러울 수 있습니다. 어떤 나라식 표기법을 따를지는 번역가의 재량이지만, 주의할 점은 한 단어 안에서 두 가지 언어의 표기법을 섞어서 쓰는 것은 좋지 않다는 것입니다. 앞서 든 예시라면, “뒤셀버그,” “듀절베르크,” 등으로 표기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습니다. 표기법이 헷갈릴 때에는 외래어 표기법(https://kornorms.korean.go.kr/regltn/regltnView.do?regltn_code=0003&regltn_no=425#a424) 제3장 [각 나라별 표기 세칙]을 참조하여 표기하시면 됩니다.

 

참조하면 좋은 사이트

마지막으로 고유명사 번역 시 참조하면 도움이 되는 사이트를 소개해 드리겠습니다.

 

FORVO https://ko.forvo.com/

똑같은 스펠링이지만 Walter라는 단어가 독일어로는 “발터,” 영어로는 “월터”로 발음되는 것을 직접 들어볼 수 있습니다. 어떤 나라의 발음 체계를 잘 몰라 실제로 어떻게 발음되는지 들어보고 싶을 때 이용하면 좋습니다. 단,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단어는 없는 경우가 많습니다.

 

외래어↔한글 표기 상호 변환기 http://loanword.cs.pusan.ac.kr/

한글 또는 외래어를 넣으면 그에 대응하는 표기법을 보여주는 사이트입니다.

 

상호 변환이 가능해 사용이 간편하며, 검색한 단어를 포함하는 단어도 보여주기 때문에 참고용으로 좋습니다. 다만, 2010년 7월 이후로 업데이트되지 않아 현행 표기법(2017년 개정)과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네이버랩 언어변환기 https://dict.naver.com/name-to-roman/translation/?where=name

한글 이름의 로마자 표기법을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로마자 표기법에 따른 변환 결과를 사용 빈도와 함께 제시해 주기 때문에 더 자주 쓰이는 표기법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이 사이트 역시 2000년 기준 로마자 표기법을 사용하고 있어 현행 표기법(2014년 개정)과 상이한 부분이 있을 수 있습니다.

 

한글라이즈 https://hangulize.org/

외래어 표기법을 적용하여 외래어를 한글로 변환해 주는 사이트로, 다양한 언어를 지원합니다. 외래어 표기법에 따라 결과를 제시해 주기 때문에 사전에 등재되지 않은 고유 명사도 편하게 찾아볼 수 있습니다. 다만, 주요 언어 중 영어와 프랑스어는 지원하지 않습니다.

 

외래어 표기법 용례 찾기 http://loanword.cs.pusan.ac.kr/

국립국어원에서 제공하는 한국어 어문 규범에 따른 외래어 표기법 및 로마자 표기법 용례 찾기 사이트입니다. 현재 기준으로 가장 정확한 참고자료라 할 수 있습니다. 영어 외 다른 나라의 언어에서 유래한 단어도 검색할 수 있어 유용합니다.